연말연시가 다가오는 요즘.
술은 마시면 안 되지만 술자리의 부위기는 내고 싶은 사람들,
본래 알코올 분해효소가 없는 사람이나 운전이 염려되는 사람들이
요즘 무알콜 맥주를 마시는 경우가 많다.
정말 무알콜 맥주에는 알코올이 전혀 없는 걸까?
전에 어떤 기사에서 무알콜 맥주를 마시고 음주단속에 걸렸다는 기사를
스치듯 본 것도 같고 해서 찾아보기로 했다.
현행법상 주류는 알코올 1% 이상이다.
그 미만은 음료로 분류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무알코올은 비알코올과 무알콜로 나뉜다.
카스 0.0은 알코올 0.05%로 비알코올.
하이트제로, 클라우드 클리어 제로 알코올 0.00%로 무알코올.
수입음료 산미구엘, 클라우스탈러, 칭다오는 0.1% 미만으로 비알코올
그렇다면 비알코올은 0.99%까지라고 볼 수 있다.
무알코올 맥주의 생산
하이트에서는 홉을 쓰거나 발효를 시키지 않고 탄산음료 공정에서 생산을 한다고 하다.
비알코올 맥주들은 발효된 홉을 걸러서 맥주인 상태에서 알코올만을 제거한다.
무알코올 맥주의 맛
술을 전혀 하지 못했던 나는 보리음료인 맥콜을 마셨었다.
하지만 맥콜은 콜라도 아닌 것이 맥주도 아닌 것이 뭐 이런 달달한 보리음료에 탄산을 섞은 맛이랄까?
그 정도였는데
그래도 무알코올 맥주 특히 클라우드는 딱 내 취향저격이다.
일반 맥주에 비해 거품이나 목 넘김, 깨끗한 맛의 2% 부족한 것쯤은 분위기를 낼 수 있는 것만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무알코올 맥주와 다이어트
다른 탄산음료에 비해 낮은 편이다.
330ml 한 캔당 60~70kcal로, 100ml당 약 20kcal 정도로 매우 적다.
콜라가 100ml에 약 40kcal가 조금 넘으니 콜라의 절반 정도이다. 그렇다고 자주 많이 마시는 건 주의해야 한다.
먹어서 빠지는 건 세상에 없다.

비알코올 맥주 마시고 운전은 가능할까?
어떤 음료냐에 관계없이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3% 이상이면 음주운전으로 처벌받는다
소주 1잔이나 맥주 1잔을 마시고 약 1 시간 뒤에 괜찮겠지 하고
측정해 보면 음주단속 기준치인 혈중 알코올이 0.03%가 나온다.
사실 무알코올 맥주로 취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무알코올 맥주 100캔을 마셔야 일반 맥주 1캔을 마시는 것과 같다고 하니...
하지만 어떤 경우든 어떤 종류의 술이라도 한잔을 마셨어도 운전대를 잡는 건 절대 안 된다.
임산부는 비알코올을 마셔도 될까?
아예 0.00%인 무알코올은 상관없다고 하지만만
비알코올은 적은 양이라도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마시지 않는 것이 졸다.
백번 말해도 당연한 말이다.
무알코올, 비알코올 음료 미성년자가 구매 가능할까?
정답은 아니다입니다.
미성년자에게 무알코올음료는 술과 같은 법적 적용을 받는다.
술은 인터넷으로 판매하지 않지만 무알코올 맥주는 구매가 가능하다.
하지만 무. 비알코올 맥주를 구매하려면 성인인증을 받아야만 한다.
이상으로 무알코올 맥주에 대해서 궁금한 점을 알아봤다.
알코올 분해효소가 없어 맥주 반잔만 마셔도 불탄 고구마 같아지는 나에겐 정말 반가운 음료이다.
I like rather non-alcoholic beer than beer